THE END OF THE WORLD BY YURI LEE
Traditionally, Koreans often depict ghosts as entities full of han (한)—sorrow, resentment, and regret altogether—and especially the female “virgin ghosts” come with the deepest han for not being consummated with a man during their lifetime. So imagine my pleasant surprise when I learned from “The End of the World” that I don’t have to wander this damned earth forever just because I was born a Korean who loves another woman.
As a queer woman from Korea, where anything outside of the norm is ostracized, it feels like a miracle to have found a woman I love and who loves me. Our lives are in constant limbo, where one day I wish everyone would see us as we are, a loving couple, and another day I wish everyone would forget about us, just leave us to be “best friends” in their eyes. Yuri Lee’s short story beautifully captures this emotional pendulum, reassuring us girls that it’s all okay because “we’re here together,” living or dead.1
Notably, the Korean original omits all dialog markers, such as quotation marks, that would visually distinguish them from the paragraphs. Many Korean works choose to do this in order to create a poignant mood and a seamless reading experience, similar to recalling one’s own memories. In “The End of the World,” in particular, the absence of markers serves as a metaphor for the fact that queer women’s voices often go unheard; we are treated like ghosts, unable to speak, and our voices blend into the background as if they do not exist.
In the translation, however, I opted to use quotation marks for dialogs and italics for the thoughts and recollections of conversations. This choice clearly demarcates the voices of Jiwoo and Hyesoo, allowing readers to follow and understand the story more easily, which enhances, rather than diminishes, the story’s original intention and powerful message. But more importantly, I wished this choice would allow us, along with the two women in the story, to reclaim the voices we lost and let us express out loud the love or cries for help, at least within this short story.
This abridged version of the story is from Lee’s short story collection titled Let’s Meet at a Good Place (좋은 곳에서 만나요). It is a themed collection about death and the afterlife, and its title is a concise summary of “The End of the World” and all the other stories in the collection. In a sense, the afterlife is a future, and the collection reads like a literary prayer for the future to be a Good Place, where you and I have each other and are free from all prejudice and oppression in this world.
I hope this story can offer the same solace to the sad and lonely souls who read in English as it did for me in Korean. Until we meet at a Good Place, as “lonely yet free ghosts.”
1 Just as I was about to submit this translator’s note, Lee Jae-myung, a South Korean politician and the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reportedly stated in a meeting that “the matter of livelihood is a more urgent” than legalizing same-sex marriage or passing the anti-discrimination law. Queer life in Korea isn’t even about living. We’re as good as dead.
Joheun Lee
Art by Tony Brinkley
Translator’s Note
The End of the World
Translated from Korean by Joheun Lee
I was dreaming about the day I met Hyesoo again.
I was born and raised in a small town in Gangwon-do, and as with all children from that provincial town, I’d been preoccupied with the wish to leave the neighborhood. There were two ways: either go to college in a major city or marry a man who lived in one. Since middle school, I realized the latter wasn’t an option for me and devoted my soul to my studies. After luckily getting accepted to a school near Seoul, I thought I was set. I got on a night train the very weekend I saw the word “Accepted” on the admissions website. My heart was light, free of all care, and I never looked back. The old-fashioned dialects, the smell of cow dung, the so-called “downtown” that had one franchise hamburger joint—I waved goodbye to all those nuisances.
So it is noteworthy that the place where I’d met Hyesoo again was that town—and the loathsome “downtown” at that—where my high school class reunion took place. I consider this the starting point of a truly romantic and fateful love.
The reunion was held regularly starting the year after I left town, but I’d never considered attending. I was busy working part-time at an Internet cafe during the week and holding two separate private tutoring sessions on the weekends. Even if I were dying of boredom, I would never have dreamt of visiting that neighborhood again. Some friends suggested coming to the reunion, but they stopped contacting me after I declined a few times. I initially felt bad but soon thought it was a good call after seeing the reunion photo on Cyworld. No one in the photo had ever left town; it was filled with those who’d either wanted to leave but failed or found a job at the local bus terminal or the agricultural co-op instead of going to college, all crowded around a table at the downtown pub where the local men gathered to watch baseball.
I’m still unsure what got into me the day that brought me there. Even when I came home from tutoring that day, I wasn’t aware there was a reunion the next day. I read a friend’s NateOn status message set to the time and location of the reunion and merely thought, I see. But the next morning, instead of rolling around in bed all day as planned, I went on the express bus ticketing website. After buying a ticket, I took a shower and even devoted time to put on meticulous makeup before leaving the house. What am I doing? The thought struck me only after my bus was on the highway, leaving Seoul behind.
What word other than fate could explain what happened that day? Why would I return to the place I’d sworn never to return, like an iron nail drawn to a magnet? It was because I was fated to meet Hyesoo at the reunion that day.
Much later, when I told her this, Hyesoo sneered. “You just thought it was about time. Probably figured you could finally brag about how you’re a sophisticated Seoulite now. As a matter of fact, you were acting really stuck-up that day.”
All I’d wanted was to say something romantic, so I was immediately upset at her reaction. “Like you weren’t,” I spat. That night, we slept with our backs to each other.
But come to think of it now, I could’ve told her once again. That whatever she thought, meeting her again that day was fate. That she hadn’t been condescending at all, and I was just endlessly thankful she’d come to me. That she’d saved my life.
I desperately wished I could go back to that moment and tell her those words, and right then, I was transported to that moment in my dream. In that exact studio apartment where we’d lived together for the first time, with our backs to each other on that single bed we crammed ourselves into. I rolled over under the rustling blanket and tapped on Hyesoo’s shoulder. “Hey, Hyesoo.” She turned around, too, and looked me straight in the eye. I was about to say what I’d prepared, when Hyesoo’s lips slowly parted.
Wake up.
Hang in there.
Please don’t leave me alone.
I opened my eyes. Suddenly, Hyesoo’s face was nowhere to be seen, and I was in a dark place I’d never been before.
“Jiwoo. Jiwoo, wake up.”
I turned toward Hyesoo’s voice above my head and saw a jagged hole big enough for my arm to pass through. Hyesoo was sticking her face through the hole, desperately calling me, “Jiwoo, Yang Jiwoo.”
“Hey, I’m here,” I shouted as I got up, but something felt off. There was a sinking feeling like picking up an empty jar thinking it was full. I’d pushed myself up, but it was as if I had brought up only the slightest bit of my body, leaving the rest behind. After being startled by this strange sensation, I slowly realized.
Right. I was dead.
I grunted, stretching my body thinner so that I could easily slip through the hole above my head. After emerging into the light, I could finally tell where I’d been. Tetrapods. I couldn’t fathom how I got there, but I’d been stuck under the tetrapods’ interlinked legs. Someone had probably twisted my legs and arms to do so. Bending, pressing, and folding me like a slab of meat since I’d already been dead.
But what actually made me angry was the sight of Hyesoo’s teary face. She was in a devastating state. The upper-right corner of her near-translucent head was pressed flat like under a steel plate. Her left eye was missing, with only the rubbery membrane slipping down and glistening under the light. Her head was crushed to the point where I could see her jelly-like brain and broken pieces of skull. The sight set my stomach afire with rage. Gruesomeness aside, how painful would it have been for her. How shocked she would have been. I was examining her, my teeth gritted, when Hyesoo said in a trembling voice:
“You didn’t wake up for so long, I thought I’d turned this way all alone.
I thought you were gone, but not me.”
I hugged Hyesoo’s shaking body. “It’s okay,” I whispered. “We’re together. I don’t know what happened or what became of us, but we’re here together. It’s okay. It’s okay. It’s okay.”
Saying it was okay over and over really made me think that it was. Hyesoo must have felt the same way; I could feel her body slowly relaxing, too.
“You’re right. We wanted to die, anyway,” she muttered.
I pretended I didn’t hear her, pulling her closer.
She was right. We had come here to die.
Hyesoo said that a truck had hit her, and she flew through the air until something crashed against her head and snapped it off her body. That was how she witnessed everything—the pale-faced young man getting out of the truck and looking around, him carrying our limp bodies and shoving them in the breakwater holes, and him crawling up the road to pick up the strewn pieces of our flesh.
“How did he look?” I asked.
“Hm, totally ordinary. Not handsome, not ugly. Not tall, not short.”
“Come on, give me some more details.”
“Umm…”
Hyesoo and I, an unsightly pair, joined hands and walked on. She said there was a narrow alley near where we were struck not too far away, but I couldn’t remember where it was and simply followed her. We passed the ruins of a village, which stood facing the breakwater. Bushes full of beach roses along a collapsed stone wall swayed in the wind. Ahead of them lay a narrow dirt path.
“There it is.”
Hyesoo pointed at a spot on the dirt road, and my gaze followed. An orange streetlamp, its light murky with grime, stood like a spotlight in the middle of the path, with overgrown weeds and vines on both sides. It was too serene for a road that had recently witnessed the deaths of two people.
“You know, that man,” Hyesoo started, tilting her head toward the sky. “After he moved us into those holes, he stopped here before he got back in his truck. He stared blankly at the sky, like I’m doing now. I was wondering what he was looking at when someone could have spotted him any time soon. Now I know.”
Hyesoo straightened up and beckoned me. I stood beside her and looked up but couldn’t see anything.
“What’s there?” I asked.
“When he hit us, the moon must have been right there,” replied Hyesoo, pointing. “He probably thought, ‘How beautiful. What a pretty night sky. Such a sweet summer breeze.’”
I stared at Hyesoo, at a loss for words. Was she out of her mind? I nearly snapped at her, but my eyes opened wide all of a sudden. I caught a whiff of a strong, sweet smell from the ocean on the warm summer breeze. I soon spotted the source. The rich beach roses bushes were in full bloom, springing up between the crumbled bricks and gravel. I gazed down at the fuchsia-colored petals blossoming under the orange streetlight. I could hear the wind rushing over the distant sea and grass bugs chirping in the thickets.
“...I couldn’t have done it alone.”
Hyesoo’s muttering reached my ears amid the suffocating scent.
“You said it yourself, Jiwoo. We’d always failed. So I’m glad that it happened.”
Hyesoo turned around and took a few steps along the grassy roadside. My gaze followed her. Grass bowed at Hyesoo’s feet as it would in the wind. Her thin, translucent legs shimmered in the dark. They reminded me of the conversation we’d had right before we left home. Hyesoo insisted on wearing her pajama shorts out, and I kept chiding her to change into a longer pair. Do you know how painful sea mosquito bites can be? The swelling could have you suffering for a whole month. I’d exaggerated, but Hyesoo just giggled. You think we have a month ahead of us? Speechless, I let her climb into the passenger seat in her shorts and slippers, but I doused us in mosquito repellent as soon as we arrived at the beach. Yes. I’d believed we’d had a month ahead of us, a year, a decade. Just as we’d had yesterday and the day before, we would have today and tomorrow.
I didn’t want to die.
I wanted to live a good life. With you.
I muttered to Hyesoo’s back, now far ahead of me. The sound of ocean waves echoed in the distance.
What was it like before I met Hyesoo?
Seoul never asked me if I liked my life there or not, and I’d become just a Seoulite, wandering the night streets without any preferences or opinions. As I passed by people my age, spitting on the sidewalk, drunk, all I could say was, “Hysterical.” I was repeatedly reminded that the very act of roaming the streets and everything I’d done since coming to Seoul had merely been a long series of hysteria.
The next thing I knew, I was a junior in college. My major never grew on me and left me with a mediocre GPA, and I had nothing I wanted to do. I’d gone to school daily and worked countless part-time jobs, but no place felt like home. Even once I was finally in Seoul, the place I’d dreamed of since childhood, I barely left the neighborhood I lived in. The subways still drained me, and beer was the only alcoholic drink I could stand.
So maybe Hyesoo’s obnoxious comment was right. It was around that time when I’d impulsively gone to the reunion.
No one welcomed me there. Someone asked bitterly, “How did you know this was happening?” to which I also responded bitterly, and that was the end of the conversation.
Around 10 p.m., they exchanged looks with each other. “Jiwoo, are you taking the last bus to Seoul?” someone asked. I nodded, and everyone naturally started to talk about parting ways. I could tell a few of them would meet up again later, but I didn’t care. With my stomach unpleasantly full of the beer I’d forced down, I just wanted to get home as soon as possible. As soon as I left the bar, I split off from the group heading the opposite way. Just in time, a cab was coming my way. I flagged it down and got in, thinking I would never return to this town.
Until someone slid into the seat next to mine.
“Are you heading to Seoul?” the person asked quietly, and only after I said yes did I realize who she was. Oh Hyesoo, one of the attendees who’d been stuck on the fringes of the conversation like me.
Staring at my puzzled look, Hyesoo asked calmly.
“Can I come to your place?”
“Jiwoo, aren’t you curious?”
“About what?”
“If it’s just the two of us, or if there are other ghosts like us. And if so, can we see each other? Or do all of us exist here together but can’t see each other?”
I didn’t answer. These questions left a bitter taste in my mouth. My death still didn’t feel real, and I had no idea what I’d become, but Hyesoo didn’t seem fazed. She understood and willingly accepted the situation. As if she’d finally kicked off a project she’d been planning for a long time.
Then I realized—Hyesoo really meant it whenever she said she wanted to die.
“I don’t really wanna know,” I murmured.
“I do,” said Hyesoo. “I’d like to run into another ghost if there’s one.”
“What would you do then?”
“I just wanna know. If others can see me.”
“So what if they can?” I snapped.
Hyesoo turned to me and said, “I wish no one could see me. Actually, I wish no one else was here. I wish there were only two of us left in this world.”
Hyesoo briskly strode ahead of me, determined to find another ghost. I knew that what Hyesoo wanted was not to be alone but for us two to be alone together, and that wasn’t because she loved me. In Hyesoo’s world, I was not someone she loved, but someone harmless to her. Someone who didn’t torment or judge her, someone who would never leave even if she lashed out for all she wanted. The fact that she considered all humans except me harmful didn’t console me, because that’s not what I wanted to be.
Come to think of it, Hyesoo said she wanted to die since that first night at my place.
At the doorstep of my humble studio apartment, which had no proper furniture or decoration, Hyesoo set down her backpack without hesitation as if she were at home. Her bag was huge, better suited for hiking or camping than a class reunion. I asked what was in it, and she simply replied, “Stuff.”
But she revealed with a grin, “I packed clothes, underwear, skincare products, and a few other things I’d need right away. If you didn’t take me in, I was gonna go on a trip, anywhere for a week. Then…”
“Then?”
“Then, once I got tired of it, I was gonna die.”
Not funny, I thought, frowning. Paying my reaction no mind, Hyesoo bent over to tidy up the shoes she’d taken off and entered inside. I could feel my head throbbing. Did she think she was a stray cat who’d found a human companion or something? Her declaration to die rang hollow at the time. I’d seen tons of girls like Hyesoo on various online communities. All the depressives, insomniacs, and cynics gathered there, but their lives weren’t that different from ordinary people’s. Hyesoo might be an online community addict like me, I thought, as I watched her peep into my bathroom.
“By the way, I like women.”
I blurted, letting the trail of my malicious thoughts slip out. It was sort of a childish attempt to show her how I didn’t have things so easy, either. In fact, the whole bus ride up to Seoul, I contemplated whether to tell her or not. If I did, when and how? What would happen? I’d never thought of revealing my sexual orientation to anyone except online. And I’d declare it to someone as good as a stranger I found attractive but who was probably straight. How would she react? Would she run away, pity me, accept it, or pretend she hadn’t heard? My heart pounded as I observed Hyesoo’s face.
“Then, does that mean there’s a possibility that you could like me?” Hyesoo asked.
“That’s right.”
I still had enough of a grip on myself not to say, I already might.
Hyesoo seemed deep in thought for a while before she said, “That’s fine.”
“What’s fine?”
“No one’s ever liked me before. I wouldn’t like you in the same way, but that doesn’t mean that you liking me is a bad thing.”
Before I could ask what the hell she meant, Hyesoo went into the bathroom. Bewildered, I stared at the closed bathroom door and mulled over what I’d just heard. So it was okay for me to love her even though she wouldn’t love me back? It perplexed me but didn’t upset me, even though I felt I had the right to be offended.
That night, only when I tried to fall asleep beside her on my small bed did I realize why her words didn’t bother me. Even though she’d declared that she couldn’t give me the same thing in return, Hyesoo at least allowed me to like her. Without judging or condemning me.
What was she running away from, and why? Why did she want to die? Would I ever have a chance to find out? I fell asleep, mind overrun with those thoughts.
In the end, that chance never came.
Hyesoo lived with me for three years after that. But she never told me what she’d run away from or what was tormenting her so much. Of course, I could guess a few things as we spent time together. I could tell from how she never talked about her family, how no one was looking for her, and the old self-harm scars on her arms and thighs. I was curious but decided not to ask. I feared she might run away if I tactlessly brought up the topic. That she might feel that it wasn’t safe here, either.
After the last semester in college, I found a job and a more spacious house near it. I got a driver’s license and bought a used car, and every dawn, we wandered in it all over the place. Ilsan Lake Park, Bugak Skyway, Cheonggye Plaza. All Hyesoo’s favorite places.
Over the past three years, I tried with all my might to make Hyesoo happy. I’d told myself that once she was happy, happy enough to let the sad past be the past, she would tell me all about it. And it wasn’t hard to make Hyesoo happy; she broke into laughter at things like sweet coffee, funny movies, and stray cats coming by for food.
But when those moments were over, Hyesoo wished to die again. Her thoughts intensified in the evenings, and nothing I said could stop her. The only way to appease her was to take her for a ride somewhere far away and let her get some air. Even then, instead of asking why, I said: “What would I do if you die? I’d be so lonely. I don’t want you to die.” After a series of sincere but empty-sounding pleas, Hyesoo would calm down a little and get back in the car.
Every day went by like that.
Those days in which everything seemed to get better but didn’t, where only my love for Hyesoo grew.
I can’t say I wasn’t lonely. I knew Hyesoo didn’t feel the same toward me. But I was less lonely thanks to her.
I’d honestly believed that was enough.
The darkness was becoming lighter and lighter at our feet.
“Looks like the sun is coming up.”
“Yeah.”
“Do you think we’ll disappear once it does?”
“Maybe.”
We walked and walked.
We couldn’t tell the direction, but we’d had our backs to the breakwater when we started, so we were probably headed to the middle of the island. The path cut off abruptly only to start, then stop again. This village, this whole land, seemed like one giant, screwed-up maze. A muddy path would suddenly change into a smooth asphalt road. Not that it mattered to us since we could walk even without roads.
I wanted to suggest we go somewhere more crowded but didn’t. The thought would have crossed Hyesoo’s mind, too. Maybe she just wanted to believe we weren’t visible to anyone. Maybe what she’d wanted when she was alive wasn’t to die exactly, but to become invisible. In that case, what if we stayed here, Hyesoo and I? As two lonely yet free ghosts?
I fixed my eyes on Hyesoo’s heels as I walked. The surroundings grew brighter and brighter after each short and aimless thought—dark indigo, light indigo, dark azure, light azure.
Then, suddenly, Hyesoo halted.
“The end,” she announced.
I lifted my gaze and was stunned. Only a few steps ahead was a cliff. The earth ended abruptly as if an apathetic giant had carelessly chopped off the rest. “Watch out!” I called, pulling Hyesoo toward me. Then we looked each other in the eye and chuckled.
What would happen if we fell?
We walked toward the edge and looked down. It wasn’t that high, but the landing below was jagged with sharp rocks, murky seawater whirling around them.
“Should I jump?” Hyesoo asked.
“How would you make it back up?”
“Good question.”
Hyesoo perched on the edge of the cliff, letting her legs hang. I sat next to her, and all I could see was the sky—the pale, vast cerulean sky, its edge gradually brightening. It was the sort of scenery that made my chest feel full.
“How could it be so nice?” Hyesoo asked dreamily. “This is it. This is what I always wanted.”
Instead of replying, I searched for and grabbed Hyesoo’s hand. Clutching each other’s hands, we dangled our legs over the edge and stared out at the distant sky. Far beneath our feet crashed the waves against the cliff wall.
“Would we shatter like that?”
“I think so.”
“That’s amazing. Sooo amaazing.”
Hyesoo beamed. As if in answer, a flock of seagulls suddenly soared up into the sky. The birds cawed midair and landed on the rocks right below the cliff all at once. Afar, their pure white heads were beautiful. Would those birds die, too? Did they become like us when they died? I was musing when Hyesoo called to me.
“Jiwoo.”
“Yeah?” I turned around. Hyesoo was grinning, her teeth showing.
“What is it?” I asked.
“You know what I’m about to say, right?”
“No, I don’t.”
“Come on, you do.”
“I don’t.”
“Fine, then. Let’s leave it at that.”
“Whatever, it’s not like you’re gonna say you love me,” I sulked.
“No, not that, unfortunately,” laughed Hyesoo.
“I’m gonna push you off.”
I joked, grabbing at Hyesoo’s shoulders as if I meant it. It was then Hyesoo leaned forward and hugged me. I froze in surprise.
“Thank you,” Hyesoo whispered. “I wanted to say, thank you. For back then, for now, and probably forever.”
Not knowing what else to do, I tightly hugged Hyesoo’s narrow shoulders, too. Her shoulders smelled faintly of beach roses. I pressed my nose deep against her skin and breathed in. At that moment, a ridiculous thought crossed my mind. Could this cliff, this place, be the end of the world? Could we have reached the end of the world? We had to have. If such a beautiful place, this very spot slowly submerging in light, wasn’t the end of the world, where else could it be? If not this corner of the world, where no one existed but the two of us?
If so, I’d be okay with things ending here.
“I’m good now,” Hyesoo said softly as if she had read my mind, her head buried in my shoulder.
“Me, too,” I replied. And I truly meant it.
Above our heads, the sun was rising—slowly, unhurried.
세상의 끝
By 이유리
혜수를 다시 만났던 날을 꿈꾸고 있었다.
나는 강원도의 어느 소도시에서 태어나 자랐고, 그곳의 모든 아이가 그렇듯이 학창 시절엔 내내 동네를 떠나고 싶다는 생각에만 골몰해 있었다. 방법은 두 가지였다. 대도시의 대학에 합격하든가, 대도시에 사는 남자와 결혼해서 떠나든가. 후자의 방법이 내겐 가능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깨달은 중학생 무렵 이후로 나는 그악스럽게 공부에 매달렸고, 다행히 재수 좋게 서울 변두리의 어느 대학에 합격했을 땐 이제 됐다 싶었다. 입학처 홈페이지에 올라온 합격 두 글자를 본 그 주말에 바로 밤 기차를 탔다. 산뜻하고 시원하게, 뒤도 돌아보지 않고. 사투리, 쇠똥 냄새, 프랜차이즈 햄버거집이 달랑 하나 있는 ‘시내’, 그 모든 지긋지긋한 것들에 팔랑팔랑 손을 흔들면서.
그러므로 내가 혜수를 다시 만난 것이 그 도시, 게다가 내가 그토록 끔찍하게 싫어했던 ‘시내’에서의 고등학교 동창회 자리였다는 것은 기억해둘 만한 사실이다. 나는 이것을 아주 낭만적이고 운명적인 연애의 시발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내가 그곳을 떠난 다음 해부터 동창회는 꾸준히 있었지만, 그전까지 나는 한 번도 참석할 생각을 하지 않았었다. 평일에는 피시방 아르바이트, 주말에는 두 집에 과외를 다니며 용돈을 벌어 쓰기 바빴던 탓도 있었지만 설령 한가해 죽을 지경이더라도 그 동네에 갈 일은 없었을 것이다. 몇몇 친구가 동창회 참석을 권하긴 했지만 몇 번 거절하니 그 뒤로는 연락이 끊겼다. 마음이 쓰이지 않은 건 아니었으나, 나중에 그 애들의 싸이월드에 올라온 동창회 사진을 보면서 가지 않기를 잘했다고 생각했다. 그 사진 속 낯익은 얼굴들 중 나처럼 동네를 떠난 아이는 한 명도 없었다. 떠나고 싶었지만 결국 실패하고 눌러앉은 아이들, 대학에 가는 대신 시외버스터미널이나 농협에 일찌감치 취직한 아이들만이 모여 앉아 있었다. 동네 아저씨들이 모여 야구 중계를 보는 사거리 그 호프집에서.
그날 도대체 왜 갑자기 거길 가야겠다는 생각을 했는지는 지금도 알 수가 없다. 그 전날 과외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을 때까지만 해도 나는 내일이 동창회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한 친구의 네이트온 상태 메시지에 동창회 장소와 집합 시간이 적혀 있는 것을 보고 그렇구나 생각했을 뿐이었다. 그런데 다음 날 아침, 나는 계획대로 하루 종일 침대에서 뒹굴거리는 대신 원래 그러려고 했던 사람처럼 고속버스 티켓 예매 사이트에 들어갔다. 머릿속으로 시간을 계산하며 적당한 티켓을 산 뒤에는 샤워를 하고 공들여 화장까지 한 뒤 집을 나섰다. 뭐지, 내가 왜 이러고 있지, 생각한 것은 내가 탄 고속버스가 이미 서울을 빠져나가 고속도로에 접어든 이후였다.
그러니 그날의 일을 운명, 그 외의 단어로 설명할 수 있을까. 자석에 끌려가는 쇠못처럼 다시는 돌아가지 않겠다 결심했던 그곳으로 돌아갔던 이유는 그것뿐이었다. 나는 그날 동창회에서 혜수를 만날 운명이었으니까.
언젠가 이 얘기를 했을 때 혜수는 코웃음을 쳤다. 너는 그냥 지금쯤 적당하다고 생각했을 뿐이야. 이 정도면 세련된 서울 사람이 된 네 모습을 보여주면서 적당히 뻐기고 으스댈 만한 상태가 됐다고 판단한 거겠지. 그리고 밉살맞게도 이렇게 덧붙였다. 실제로 너 그날, 되게 재수 없었어. 내 딴엔 로맨틱한 말을 해보려던 거였는데, 나는 단박에 풀이 죽고 기분이 상했다. 야, 너도 재수 없긴 마찬가지였거든. 쏘아붙이고 나서 그날은 서로 한마디도 하지 않고 돌아누워 잤다.
그러나 지금 와서 생각하면 다시 한번 말해줄 수도 있었을 것 같다. 뭐였든 간에 그날 너를 다시 만난 건 운명이었다고. 그날 넌 전혀 재수 없지 않았고, 내게 그렇게 와줘서 다만 고맙고 또 고마웠을 뿐이라고. 네가 나를 구했다고.
그때로 돌아가 그렇게 말해주고 싶다, 간절하게 그렇게 생각했을 때였다. 꿈속의 나는 어느새 그날 밤으로 돌아가 있었다. 우리가 처음 함께 살았던 원룸, 둘이서 몸을 욱여넣고 잠들었던 싱글 침대에 돌아누운 그대로. 나는 부스럭부스럭 이불을 들추고 다시 돌아누워 좁은 혜수의 등을 톡톡 건드렸다. 혜수야, 있잖아. 그러자 혜수도 돌아누워 나를 똑바로 바라보았다. 막 준비한 말을 하려는데 혜수의 입이 천천히 열렸다.
일어나.
정신 차려.
날 혼자 두지 마.
나는 눈을 떴다. 그러자마자 혜수의 얼굴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고 나는 처음 보는 어두컴컴한 곳에 있었다.
지우야. 지우야. 일어나.
머리 위에서 혜수의 목소리가 들리기에 올려다보니 거기에 우둘투둘한 모양의 팔뚝만 한 구멍이 보였다. 혜수가 그 구멍에 얼굴을 들이민 채로 내 이름을 애타게 외치고 있었다. 지우야, 양지우. 어어, 나 여기 있어, 외치며 일단 몸을 일으켰는데 뭔가 이상했다. 마치 텅 빈 물병을 꽉 차 있는 줄 알고 집어 들었을 때처럼 뭔가 철렁하는 느낌이 있었다고나 할까. 분명 일어났는데, 일어났다는 느낌이 있긴 했는데 몸의 대부분을 놔두고 아주 약간만 지닌 채 일어난 것 같았다. 생전 처음 느껴보는 이상야릇한 감각에 깜짝 놀라고 나서야 천천히, 모든 것을 깨달았다.
나, 죽었었지 참.
끙차, 소리 내며 몸을 한껏 가늘게 늘이자 머리 위로 보이던 구멍으로 손쉽게 빠져나올 수 있었다. 불빛이 있는 그 위로 비집고 나오고 나서야 내가 어디 있었던 것인지 알 수 있었다. 테트라포드였다. 도대체 어떻게 집어넣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나는 테트라포드의 다리가 겹친 틈바구니 아래쪽 어딘가에 끼어 있었던 것 같았다. 팔다리를 대강 꺾어서 밀어 넣었겠지. 어차피 죽었으니까 신경 쓰지 않고 고깃덩어리처럼 꾹꾹 구부리고 뭉쳐서.
그러나 정작 화가 났던 건 울먹이는 얼굴로 내게 다가온 혜수를 보고 나서였다. 혜수의 몰골은 그야말로 처참했다. 반투명해진 머리는 왼쪽 윗부분이 강판에 누른 것처럼 납작하게 짓뭉개져 있었다. 왼쪽 눈은 어딜 갔는지 흘러내려 매끄러운 점막만 빛나고 있었고 뭉개진 머리통 속은 그 안의 젤리 같은 뇌며 깨진 두개골 조각까지 훤히 들여다보였다. 그 모습을 보자 너무나 화가 나 속에서 불이 확 일어나는 것 같았다. 몰골이 끔찍한 건 둘째 치고 얼마나 아팠을까. 얼마나 놀랐을까. 혜수의 모습을 살피며 이를 꽉 깨무는데 혜수가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네가 너무 오랫동안 일어나지 않아서, 나만 이렇게 된 줄 알았어.
너는 끝나고, 나는 안 끝난 줄 알았어.
나는 파들파들 떠는 혜수를 끌어안았다. 괜찮아, 속삭였다. 우리 같이 있잖아. 어떻게 된 거고 뭐가 된 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여기 같이 있잖아.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괜찮다고 자꾸 말하니 정말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다. 혜수도 그랬는지, 품 안에서 혜수의 몸이 조금씩 진정되는 것이 느껴졌다.
맞아, 우린 어차피 죽고 싶었잖아.
혜수가 작게 중얼거렸다. 나는 못 들은 척 혜수를 안은 팔에 힘을 주었다.
그렇다, 우리는 여기에 죽으러 왔었다.
혜수는 트럭에 치이면서 튕겨나가 무언가에 머리를 세게 부딪혔고, 그 즉시 몸에서 분리되어 떨어져 나왔다고 했다. 그래서 모든 것을 지켜볼 수 있었다. 트럭에서 내린 젊은 남자가 새하얀 얼굴로 두리번거리던 것을, 축 늘어진 우리를 날라다 방파제 구멍에 욱여넣던 것을, 그리고 길바닥에 엎드린 채 흩어진 우리의 살점을 주워 모으던 것까지도.
어떻게 생긴 사람이었어?
음, 그냥 완전 평범. 잘생기지도 못생기지도 않았고, 크지도 작지도 않았고.
뭐야 그게. 좀 자세히 묘사해봐.
음.
볼썽사나운 몰골을 한 혜수와 나는 손을 잡고 걸었다. 방파제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우리가 트럭에 받혔던 좁은 골목이 있다고 했는데, 나는 그곳이 어딘지 잘 기억나지 않아 그저 혜수가 이끄는 대로 끌려가는 중이었다.
방파제를 마주 보고 선, 이미 오래전에 망해버린 마을의 흔적을 지났다. 무너진 돌담 아래 해당화가 흐드러지게 피어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그 앞으로 돌이 드문드문 섞인 좁은 흙길이 있었다.
저기야.
혜수가 흙길 가운데의 한 지점을 가리켰다. 나는 그곳을 바라보았다. 뭔가 잔뜩 끼어 불빛이 흐려진 주황빛 가로등이 마치 무대를 비추는 스포트라이트처럼 서 있었고, 양옆으론 잡풀이며 덩굴이 무성했다. 얼마 전 여기서 사람 둘이 죽은 사고가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만큼 고요하고 한적했다.
그 남자가 말야.
혜수가 말했다.
우리를 저 구멍에 옮겨놓고 돌아와서는, 차에 타려다 말고 여기 이렇게 멈춰 섰어. 그러곤 멍하니 하늘을 보는 거야. 지금 나처럼. 한참을 이러고 있다가 가더라. 누가 오면 들킬지도 모르는 상황인데, 대체 저기 뭐가 있길래 그러고 있었는지 궁금했거든. 이제 알겠네.
고개를 바로 한 혜수가 이리 오라는 듯 내게 손을 흔들었다. 옆으로 다가서서 혜수가 바라보는 곳을 올려다보았지만 내게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뭐가 있는데?
아마 우리를 치었을 그때쯤엔, 저기에 달이 있었을 거야.
혜수가 머리 위를 가리키며 말했다.
달이 아름답다, 밤하늘이 예쁘고 여름 바람이 좋구나, 그런 생각을 했겠지.
나는 혜수의 옆얼굴을 멍하니 바라보았다. 하도 어이가 없어 말문이 턱 막힌 탓이었다. 얘가 지금 제정신이 아닌 건가, 뭐라고 한마디 쏘아붙일까 고민하고 있는데 문득 나도 모르게 눈이 크게 떠졌다. 방금 바다 쪽에서 불어온 미지근한 여름 바람, 그 가운데서 무언가 진하고 향긋한 내음이 훅 끼친 탓이었다. 주변을 살펴보다 그 정체를 알았다. 흙길 옆으로 무너진 벽돌담과 잔돌들이 섞인 풀숲 속에 해당화가 가득 피어 있었다. 나는 오렌지색 가로등 불빛 아래 흐드러지게 핀 자줏빛 꽃잎을 가만히 내려다보았다. 멀리 바다에는 바람이 부는 소리가 들렸고, 가까이 풀숲 너머에서는 풀벌레가 찌르르찌르르 울고 있었다.
……혼자서는 절대 못 했을 거야.
중얼거리는 혜수의 목소리가 숨 막히는 향기를 가르고 귀에 와닿았다.
지우 너도 그랬잖아. 우리 매번 실패했잖아. 그러니까 이건, 잘된 일이야.
그러더니 혜수는 돌아서서 길섶을 따라 몇 걸음을 걸어갔다. 나는 혜수의 뒷모습을 눈으로 좇았다. 혜수의 발아래에서 풀잎이 바람에 살랑이듯 구부러졌다. 어둠 속에서 희게 빛나는 혜수의 가느다랗고 반투명한 다리. 문득, 여기 오기 위해 집을 나서기 직전 주고받았던 대화가 떠올랐다. 집에서 입던 반바지를 그대로 입고 나가겠다는 혜수에게 얇은 긴바지를 입으라며 한참 잔소리를 했었다. 바다 모기가 얼마나 독한지 아느냐고, 물리면 퉁퉁 부어서 한 달은 고생해야 한다고. 겁을 먹으라고 과장을 좀 보탠 것이었는데 그 말에 혜수가 피식 웃었다. 우리에게 한 달 뒤가 있어? 말문이 탁 막혀 반바지에 슬리퍼를 꿰어 신은 혜수를 어쩌지도 못하고 조수석에 태우긴 했으나 나는 여기 오자마자 내내 모기 기피제를 뿌려댔었다. 그랬다. 나는 우리에게 한 달 뒤, 1년 뒤, 10년 뒤가 있으리라고 생각했었다. 어제가 있었고 그제가 있었던 것처럼 오늘도 내일도 당연하게 올 것이라고.
난 죽고 싶지 않았는데.
잘 살고 싶었는데, 너랑.
벌써 저만치 멀어진 혜수의 뒷모습에 대고 중얼거렸다. 아주 먼 곳에서부터 조그맣게 파도 소리가 들려오고 있었다.
혜수를 만나기 전에는, 글쎄 어땠더라.
서울은 내게 좋으냐, 싫으냐 한 번도 물은 적이 없었고 나는 어떤 호불호도 감상도 갖지 못한 채로 그냥 서울 사람이 되어 밤거리를 헤매 다녔다. 술에 취해 비틀거리며 보도에 침을 뱉는 또래들을 스쳐 지나며 나는 입속으로 발작적, 이라는 말을 되씹곤 했다. 거리로 뛰어나온 지금 이 순간뿐만이 아니라, 상경한 이후 서울에서 내가 벌이고 있는 모든 일이 그저 긴 발작에 불과한 것만 같다는 생각이 자꾸만 들어서였다.
어느새 3학년이 되어 있었다. 성적을 맞춰 지원했을 뿐인 전공에는 끝내 취미를 붙이지 못해 학점도 그저 그랬고 하고 싶은 것도 없었다. 매일같이 학교에 갔고 다양한 아르바이트를 전전했으나 마음 붙일 만한 곳을 찾지도 못했다. 어린 시절부터 그토록 꿈꾸던 서울, 그곳에 살면서도 살고 있는 구를 벗어나본 적이 거의 없었다. 여전히 지하철을 타면 혼이 쏙 빠지는 기분이었고 술은 맥주밖에 마시지 못했다.
그러니 어쩌면, 혜수가 했던 밉살스러운 그 말이 맞을지도 모른다. 충동적으로 동창회에 갔던 것은 그런 시기였으니까.
아이들은 동창회에 나타난 나를 별로 반기지 않았다. 어떻게 알고 왔느냐고 누군가가 떨떠름하게 물었고 거기에 마찬가지로 떨떠름하게 대답하고 나니 대화는 끝이었다.
10시쯤 되자 떠들던 아이들은 서로 의미심장한 눈빛을 주고받았다. 지우 넌 서울 가는 막차 타나? 누군가 물었다. 그렇다고 끄덕이자 그 말을 시작으로 자연스럽게 자리가 파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이 중 몇 명은 따로 모여 2차를 갈 셈이라는 것을 눈치챘지만 상관없었다. 억지로 들이켠 맥주 때문에 불쾌하게 배가 부른 상태로, 나는 빨리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만을 하고 있었다. 아이들과 우르르 섞여 호프집을 나오자마자 나는 아이들과 반대 방향으로 돌아섰다. 마침 저편에서 빈 택시 한 대가 오고 있었다. 손을 흔들어 그 택시를 잡고서는, 멈춰 선 택시에 올라타며 다시는 오지 말아야겠다 생각한 그때였다.
옆자리에 누군가 쑥 들어와 앉았다.
서울 가니, 하고 작은 소리로 묻기에 그렇다고 대꾸한 뒤에야 누군지 알아차렸다. 오혜수, 나처럼 대화에 끼어들지 못하고 조용히 앉아 있기만 했던 아이 중 하나였다. 어리둥절해하고 있는 나를 바라보며 혜수는 가만히 물었다.
나 너네 집에 가도 돼?
지우야, 궁금하지 않니.
뭐가?
우리가 완전히 둘만 남은 건지, 우리 같은 귀신들이 또 있는 건지. 있다면 그들과 우리는 서로 볼 수 있는 건지, 아니면 그냥 여기에 함께 존재할 뿐이고 서로를 볼 수는 없는 건지.
나는 대답하지 않았다. 그 말을 곱씹다 보니 입맛이 썼기 때문이었다. 나는 내가 죽었다는 사실조차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데, 내가 무엇이 된 건지조차 아직 모르겠는데 혜수는 그렇지 않아 보였다. 혜수는 이 상황을 기꺼이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마치 오랫동안 계획해온 일의 첫 단추를 막 끼운 사람처럼.
……혜수가 입버릇처럼 하곤 했던 죽고 싶다는 말은 진심이었구나.
난 별로 안 궁금한데.
나는 궁금해. 다른 귀신이 있다면 빨리 마주치고 싶다.
마주쳐서 뭐 하게.
그냥 알고 싶어. 다른 사람들도 날 볼 수 있는지.
보면 뭐 하게.
혜수가 휙 돌아보았다.
난 아무도 나를 못 봤으면 좋겠어. 아니, 아무도 없었으면 좋겠어. 이 세상에 우리 둘만 남은 거면 좋겠어.
혜수는 이번에야말로 다른 귀신을 찾아내겠다는 듯 씩씩하게 다시 앞서 걸었다. 혜수가 바라는 것은 혼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둘만 남는 것, 그러나 그건 혜수가 나를 사랑하기 때문은 아니라는 것을 나는 알고 있었다. 혜수의 세계에서 나는 사랑하는 사람이 아니라 무해한 사람이었다. 혜수를 괴롭히지 않고 평가하지 않는 사람, 가끔은 마음껏 짜증을 부리고 날카롭게 굴어도 절대 곁을 떠나지 않을 사람, 뭐 그런 것. 혜수가 나를 제외한 모든 인간을 유해하다고 여긴다는 사실은 내게 별 위안이 되지 않았다. 내가 되기를 원한 것은 그게 아니었으니까.
그러고 보면 혜수는 처음 우리 집에 왔던 날부터 죽고 싶다고 했었다.
방 하나짜리, 이렇다 할 가구도 장식품도 없는 초라한 공간에 들어선 혜수는 제집인 양 익숙하게 현관 구석에 배낭을 내려놓았다. 동창회보다는 등산이나 캠핑에 어울릴 법한 커다란 배낭이었다. 그제야 이상하다고 생각해 안에 뭐가 들었느냐고 묻자 짧게 짐, 하고 대꾸했다. 옷이랑 속옷이랑 화장품이랑, 당장 필요한 것들만 조금 챙겼어. 그러고는 여전히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을 짓고 있는 내게 씩 웃으며 말했다.
네가 받아주지 않았으면, 그대로 여행을 갈 거였거든. 한 일주일 정도 아무 데서나 먹고 자려고 했어.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 그게 질리면 그땐 죽으려고 했지.
무슨 재미없는 농담이야, 생각하며 나는 미간을 찌푸렸다. 혜수는 그러거나 말거나, 허리를 숙여 벗어놓은 신발을 똑바로 돌려놓고는 방 안으로 성큼성큼 들어갔다. 그 모습을 보니 관자놀이가 지끈거렸다. 얘는 자기가 무슨 집사를 간택한 길고양이라도 되는 줄 아나 보지. 죽으려고 했다는 말도 그때는 우습게만 들렸을 뿐이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오래 활동해온 나는 혜수 같은 애들을 열 트럭은 보아왔다. 거기에는 온 세상의 우울증과 불면증 환자들, 냉소주의자들이 모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막상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면 다른 이들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혜수도 어쩌면 나처럼 커뮤니티 중독자일지도 모르지. 화장실 문을 열고 안을 기웃거리는 혜수를 보며 나는 멋대로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근데, 나 여자 좋아해.
혜수의 등에 대고 툭, 그렇게 말한 건 그 생각의 끝에 삐죽 튀어나온 악의의 끄트머리 같은 것이었다. 나도 뭐 만만한 삶을 살아온 건 아니다, 같은 유치한 어필이랄까. 사실 시외버스를 타고 서울로 오는 내내 이 생각만 하고 있었다. 말할까, 말하지 말까. 말한다면 언제 어떻게 말할까. 말하면 어떻게 될까. 온라인을 제외하면 지금까지 나는 누군가에게 내 성 정체성을 밝힌다는 건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 그 상대가 거의 초면에 가깝지만 끌림을 느끼고 있는, 그러나 아마도 이성애자일 여자라니. 어떤 반응을 보일까. 도망칠까, 동정할까, 받아들일까, 이도 저도 아닌 애매한 반응일까. 가슴을 두근거리며 반응을 살피고 있는데 혜수가 돌아서더니 물었다.
그럼, 네가 나를 좋아할 가능성도 있다는 거야?
그렇지.
사실은 이미 좋아하고 있을지도, 같은 대답을 하지 않을 정도의 이성은 남아 있었다. 혜수는 그 말을 듣고 뭔가를 곰곰이 생각하는 듯했다. 그러더니 잠시 후 말했다.
그럼 됐어.
뭐가 돼?
난 누군가한테 좋아함을 당해본 적이 없거든. 나는 네가 날 좋아하는 것처럼 널 좋아하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네가 날 좋아하는 게 나쁜 건 아닌 것 같아.
대체 그게 무슨 소리냐고 묻기도 전에 혜수는 화장실로 쏙 들어가 문을 닫아버렸다. 이윽고 안에서 크게 물을 트는 소리가 들렸다. 나는 닫힌 화장실 문을 하릴없이 바라보며 방금 들은 말을 곱씹었다. 그러니까, 나를 사랑하진 않겠지만 네가 날 사랑하는 건 상관없다 이건가. 전혀 예상치 못한 대답에 헛웃음이 났다. 당황스럽긴 했지만 기분이 나쁘지는 않았다. 불쾌하게 생각하려면 충분히 불쾌할 수 있는 말이었는데도 그랬다.
그날 밤, 내 좁은 침대에 혜수와 나란히 누워 잠을 청할 때에야 깨달았다. 왜 그 말이 불쾌하지 않았는지를. 비록 자기는 같은 것을 줄 수 없다고 못 박긴 했지만, 적어도 혜수는 내게 자기를 좋아하도록 허락해주었다. 그걸 이상하게도 나쁘게도 여기지 않고서.
그나저나 혜수는 무엇을, 왜 떠나왔을까. 왜 죽고 싶을까. 무슨 이유가 있는 걸까. 그렇다면 내게 그것을 알 기회가 오기나 할까. 생각하다 잠이 들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 기회는 오지 않았다.
혜수는 그날부터 3년을 나와 함께 살았다. 그러나 끝내 말해주진 않았다. 자신이 무엇으로부터 도망쳐왔는지, 자신을 그토록 괴롭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론 오랫동안 함께 지내면서 조금씩 짐작되는 부분은 있었다. 혜수가 가족에 대한 얘기를 전혀 하지 않는 것이나 달랑 가방 하나를 들고 나온 혜수를 누구도 찾지 않는다는 사실, 팔뚝 안쪽이며 허벅지에 낭자한 스스로 그은 듯한 오래된 흉터들에서. 궁금했지만 묻지 않기로 했다. 함부로 이야기를 꺼냈다간 혜수가 도망쳐버릴 것만 같았다. 여기도 안전하지 않다고 느낄 것 같았다.
나는 마지막 학기를 마치자마자 취직을 했고 직장과 가까운 동네에 조금 더 넓은 집을 얻었다. 운전면허를 따고 중고차를 산 뒤에는 그걸 타고 새벽마다 여기저기를 쏘다니기도 했다. 호수공원, 북악스카이웨이, 청계천 광장. 모두 혜수가 좋아하는 곳이었다.
지난 3년 동안 나는 혜수를 행복하게 해주려고 무진 애를 썼다. 행복해지면, 모든 불행했던 일들을 그땐 그랬지 생각하며 흘려보낼 수 있을 만큼 행복해지면 그땐 말해줄지도 모른다고 믿으면서. 그리고 혜수를 행복하게 하는 일은 아주 쉬웠다. 혜수는 달콤한 커피, 재미있는 영화, 매일 밥을 먹으러 오는 길고양이, 고작 그런 것들에도 곧잘 웃곤 했으니까.
하지만 그게 끝나면 혜수는 다시금 죽고 싶어 했다. 특히 그런 생각이 극심해지는 건 주로 밤이었는데, 그럴 때면 무슨 말을 해도 혜수를 말릴 수 없었다. 차에 태워서 어디 먼 곳으로 데려간 뒤 바람을 쐬어주며 조곤조곤 달래는 것이 그나마 통하는 방법이었다. 그런 순간들에도 왜 그러느냐고는 차마 묻지 못하고, 나는 대신 이런 말들을 했다. 네가 죽으면 나는 어떡해. 네가 없으면 나는 너무 외로울 거야. 네가 죽지 않았으면 좋겠어. 진심이었지만 어딘지 공허하게 들리는 그런 말을 한참 동안 하고 나면 혜수는 조금 진정되어 다시 차에 올라탔다.
매일이 그런 날들이었다 .
모든 것이 좋아질 듯 좋아지지 않았고 다만 혜수가 좋았던 날들.
외롭지 않은 건 아니었다. 혜수의 마음이 내 마음과 같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니까. 다만 혜수가 있어서 조금 덜 외로웠다.
그거면 됐다고, 진심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발 앞에서 어둠이 한 톤씩 걷히고 있었다.
날이 밝나.
그런가 보다.
날이 밝으면 우리, 사라지나.
그럴지도.
중얼거리며 우리는 계속 걷고 또 걸었다.
방향은 알 수 없었지만, 처음 출발할 때 방파제를 등지고 걷기 시작했으니 아마 우리는 섬 가운데로 들어가고 있는 게 아닐까 싶었다. 길은 끊겼다가도 다시 나타났고 또 갑자기 끊겼다. 이 마을이, 아니 이 땅 자체가 하나의 거대하고 망한 미로 같았다. 진흙탕 길이 이어지다 돌연 아스팔트로 바른 매끈한 도로가 나타나기도 했다. 어차피 우리는 길이 아니어도 걸을 수 있었으므로 상관없었지만.
여긴 아무도 없는 것 같으니 우리 좀더 번화한 곳엘 가볼까, 하고 말하려다 그만 두었다. 혜수라고 그런 생각을 못 했을 것 같진 않았다. 어쩌면 혜수는 그냥 믿고 싶은 걸지도 모른다, 우리가 아무에게도 보이지 않는다는 걸. 그렇다. 혜수가 생전에 원했던 건 정확히 말하자면 죽는 것보다는 누구의 눈에도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혜수와 여기 그냥 머물면 어떨까. 쓸쓸하고 자유로운 두 귀신으로.
나는 혜수의 발뒤꿈치를 뚫어지게 노려보며 걸었다. 짧고 두서없는 생각들에 잠깐씩 빠졌다가 정신을 차리면 주변은 더 밝아져 있었다. 진한 남색, 밝은 남색, 어두운 하늘색, 밝은 하늘색.
그러다 문득, 혜수가 우뚝 멈춰 섰다.
끝이다.
혜수가 말했다.
무심코 고개를 들었다가 깜짝 놀랐다. 몇 걸음 앞은 낭떠러지였다. 무신경한 거인이 대충 끊어낸 듯한 모양새로 땅이 뚝 끊겨 있었다. 나도 모르게 위험해, 하며 혜수를 끌어당겼고 그러고 나서야 둘이 얼굴을 보며 피식 웃었다.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절벽 끄트머리로 걸어가 아래를 내려다보았다. 그렇게까지 높지는 않았지만 아래에 울퉁불퉁 날카로운 돌들이 솟아 있었고 그 사이를 혼탁한 바닷물이 휘돌고 있었다.
뛰어내려볼까.
어떻게 올라오려고 그래.
하긴 그렇네.
혜수는 낭떠러지 끝에 다리를 늘어뜨리고 앉았다. 나도 그 옆에 앉으니 눈에 들어오는 건 온통 하늘뿐이었다. 귀퉁이가 점점 밝아지고 있는, 엷은 물색의 넓고 넓은 하늘. 저절로 가슴을 펴게 만드는 풍경이었다.
이렇게 좋아도 될까.
혜수가 꿈꾸듯 말했다.
이런 거였어. 내가 원했던 건.
나는 대답 대신 혜수의 손을 찾아 쥐었다. 우리는 손을 꼭 쥔 채로 다리를 달랑거리며 먼 하늘을 바라보았다. 우리의 발 저 밑에서 철썩철썩, 파도가 낭떠러지 벽에서 부서지고 있었다.
우리도 저렇게 부서지게 될까.
아마 그렇지 않을까.
그거 너무 좋다. 너어무 좋아.
혜수가 밝게 말했다. 그 말에 대답하듯, 하늘 귀퉁이로 갑자기 갈매기 떼가 우르르 날아올랐다. 까악까악 우짖던 새들은 절벽 바로 아래 튀어나온 바위에 일제히 내려앉았다. 멀리 보이는 새하얀 머리들이 아름다웠다. 저 새들도 죽을까. 죽으면 이런 것이 될까. 생각하는데 혜수가 나를 불렀다.
지우야.
어어, 대답하며 돌아보니 혜수가 이를 보이며 히히 웃고 있었다.
뭐야.
……내가 무슨 말 할지 알지?
아니, 모르겠는데.
에이, 알잖아.
몰라.
모르면 말고.
뭐래. 좋아한다고 할 것도 아니면서.
어어, 아쉽게도 그건 아니네.
확 밀어버린다.
장난스레 혜수의 양쪽 어깨를 붙잡았을 때였다. 혜수가 그대로 나를 끌어안았다. 깜짝 놀라 그대로 굳어버린 내 귀에 혜수가 속삭였다.
고맙다고.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아마 앞으로도, 고맙다고.
나도 엉겁결에 팔을 뻗어 혜수의 좁은 어깨를 안았다. 혜수의 어깻죽지에서 아주 옅은 해당화 향기가 났다. 나는 코를 깊게 박은 채 그 향을 들이마셨다. 그러자 문득 말도 안 되는 생각이 들었다. 혹시 이 절벽, 이곳이 세상의 끝은 아닐까. 우리가 세상의 끝에 다다른 거라면. 그럴 수밖에 없었다. 이토록 아름다운 곳이, 온 사위가 밝아지며 점점 빛 속으로 잠겨 들고 있는 이곳이 세상의 끝이 아니라면 어딜까. 우리 둘 말고는 아무도 없는 이곳이.
그렇다면 여기서 이대로 끝나도 좋다, 라고 생각했다.
난 이제 됐어.
내 생각을 읽은 것일까, 내 어깨에 얼굴을 묻는 혜수가 작게 말했다.
나도.
진심으로 그렇다고 생각하며 나는 대답했다.
머리 위에서 아주 천천히, 해가 뜨고 있었다.
-
Author’s Bio
Yuri Lee started her career as a writer by winning the 2020 Kyunghyang Daily News New Writer’s Contest for “Red Fruit.” Her works include short story collections Broccoli Punch, The World of Everything, and Let’s Meet at a Good Place. English translation of her short story “Broccoli Punch” was featured in Korea Literature Now.
-
Translator’s Bio
Joheun (Jo) Lee is a Korean-to-English literary translator from Korea. She was selected for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s 2023 and 2024 Translation Academy courses and the UK National Centre for Writing’s 2023–24 Emerging Translators Mentorship in Korean. She is particularly drawn to works that address issues of sexuality, labor rights, self-discovery, and sustainability, especially by women and queer writers. A UX Designer by day, Jo now lives with her partner and four cats in Shanghai, China.